카테고리 없음

2025년 24절기 표 의미, 계절별 특징 총정리 🌿

naverlove767 2025. 2. 16. 11:08
반응형

2025년 한 해 동안의 24절기 표와 함께 절기의 의미, 유래, 활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특히, 24절기 표와 함께 농사, 건강 관리, 일상생활과 관련된 정보도 알아보겠습니다.

 

📌 2025년 24절기 표란?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1년을 24등분한 기후 변화를 나타내는 절기로, 옛부터 우리 조상들은 이를 농사와 생활의 기준으로 삼아왔습니다.

절기명 2025년 날짜 (양력 기준) 계절
소한(小寒) 1월 6일 겨울
대한(大寒) 1월 20일 겨울
입춘(立春) 2월 4일
우수(雨水) 2월 19일
경칩(驚蟄) 3월 6일
춘분(春分) 3월 20일
청명(淸明) 4월 4일
곡우(穀雨) 4월 20일
입하(立夏) 5월 5일 여름
소만(小滿) 5월 21일 여름
망종(芒種) 6월 6일 여름
하지(夏至) 6월 21일 여름
소서(小暑) 7월 7일 여름
대서(大暑) 7월 23일 여름
입추(立秋) 8월 7일 가을
처서(處暑) 8월 23일 가을
백로(白露) 9월 7일 가을
추분(秋分) 9월 23일 가을
한로(寒露) 10월 8일 가을
상강(霜降) 10월 24일 가을
입동(立冬) 11월 7일 겨울
소설(小雪) 11월 22일 겨울
대설(大雪) 12월 7일 겨울
동지(冬至) 12월 21일 겨울

🌿 절기별 주요 특징과 활용

봄 (입춘~곡우)

  • 입춘 (2월 4일): 새해 농사의 시작
  • 경칩 (3월 6일):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
  • 춘분 (3월 20일):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절기

여름 (입하~대서)

  • 입하 (5월 5일): 본격적인 여름 시작
  • 하지 (6월 21일): 낮이 가장 긴 시기
  • 소서·대서 (7월 7일, 7월 23일): 장마와 무더위 시작

가을 (입추~상강)

  • 입추 (8월 7일): 더위가 한풀 꺾이고 가을이 시작
  • 추분 (9월 23일):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 한로·상강 (10월 8일, 10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겨울 (입동~동지)

  • 입동 (11월 7일): 겨울의 시작
  • 소설·대설 (11월 22일, 12월 7일): 눈이 내리기 시작
  • 동지 (12월 21일): 밤이 가장 긴 날

✅ 2025년 24절기 표 활용 팁

  • 농사: 24절기를 기준으로 작물을 심고 수확하는 전통
  • 건강: 계절별 건강 관리(예: 겨울철 보온, 여름철 수분 섭취)
  • 생활: 제철 음식을 활용한 균형 잡힌 식습관 유지

🎯 마무리

24절기는 단순한 날짜가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중요한 기준입니다. 2025년에도 24절기 표를 활용하여 건강하고 풍요로운 한 해를 보내세요! 😊✨

📌 더 알아보기:

 

 

더보기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
24절기 표